- 저자
- 마중물
- 출판
- 체인지업
- 출판일
- 2021.06.01
- 아파트 분양 이후 사람들의 움직임에 주목
분양 이후 당첨되지 못한 사람들이 어디로 움직이는지 조사한다. 이를 통해 다음 상승 시기에 아파트 상승 순서를 알 수 있다.
- 시기별 유사 도시 평단가 순위를 주기적으로 M/L
유사 도시의 예로는 광역시 도시, 인구 100만 이상 도시가 있다.
- 단기 투자 vs 중장기 투자
단기 투자: 대도시 비선호 입지 아파트, 지방 소도시 아파트 -> 시장 분위기 좋을 때 매도
중장기 투자: 핵심지역 아파트
매수: 바닥 투자보다는 상승 확인 후
매도: 부동산 매매심리 높을 때
통화량
- M1/M2 비율↑ => 아파트 매매지수 ↑
현금화 많이 시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.
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(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(bok.or.kr))
인구수와 세대수
행정안전부 홈페이지 (https://www.mois.go.kr/) - 정책자료 - 주민등록 인구통계
자료를 엑셀로 다운 받아 편집하기 좋다.
공급, 수요
공급: 인허가 물량, 입주물량, 미분양물량 (+ 구축물량)
인허가 물량은 3~4년 후 입주물량이 된다. 구축물량은 정책에 따라 달라지며 그 예로 양도세중과가 있다
연도와 지역별 인허가 물량을 정리해두고 본다. 미분양물량은 한국감정원, 부동산 지인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며 통계누리사이트에서 로우 데이터를 뽑아 편집할 수 있다.
수요: 적정 수요량은 인구수의 0.55% 수준이다.
투자 심리
부동산 심리 지수 , 매수 우위 지수 | KB부동산 데이터허브 (kbland.kr)
- 매수우위지수, 매매거래지수, 전세수급지수, 전세거래지수
부동산 비수기에 '매수자 많음' 수치 증가하면 부동산 성수기때 큰 상승 올 가능성이 높다. 매수세 수치 증가하는 상승세이거나 매매증감률 0.1 이상이면 이후 상승 기간이나 상승폭이 확대된다.
아파트 거래량을 통해 향후 부동산 시장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.
투자지역 선정: 4 key factor (인허가물량, 입주물량, 미분양물량, KB 시계열데이터) + 지역 평단가 비교, 인구수, 투자금을 통해 최종 투자 지역을 선정한다.
인구수에 따른 도시 분류
인구 100만 이상 / 50만~100만 미만 / 20민~50만 미만 / 10만~20만 미만
+ 지역별 평단가 비교를 통해 투자 지역을 선정한다.
지역별 평단가 비교: 평단가 순위가 어떻게 바뀌어왔는지 살펴보면 현재 어느 지역이 저평가 지역인지 파악 가능
아파트 상승 시기에 평단가가 낮은 아파트가 평단가가 높은 아파트에 비해 상승 금액이 낮으면 그만큼 저평가된 아파트라고 생각해 투자하는 데 실패하기도 한다. 이때 단순히 오른 금액보다는 상승 비율로 계산해야 한다.
보통 평단가가 높은 아파트부더 상승하며, 평단가가 높은 아파트가 낮은 아파트보다 더 크게 상승한다.
조인스랜드 - 단지별 시세 복사해 엑셀에 붙여넣어 편집한다. 이를 통해 '동'별 평단가를 비료하고 아파트별 평단가와 전세가율을 정리해둔다.
시기별
- 상승초기: 입지가 유사하거나 평단가가 비슷한 아파트끼리 비교한다
- 시장 활황기: 그 주변 아파트까지 비교한다
- 대세 상승장: 인프라 떨어지는 입지의 아파트까지 비교한다.
아실앱에서 거래량을 확인한다. 거래량이 많아지면 매매 시세가 높아진다.
'경제책, 기사 > 책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청의 추천도서 [비상식적 성공 법칙] / 가장 감명깊게 읽었던 자기계발서 (0) | 2022.12.27 |
---|---|
[나는 부동산과 맞벌이한다] (0) | 2022.11.26 |
[10년 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 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?] 부동산 투자 입문서 (0) | 2022.11.17 |
[투자에도 순서가 있다] 홍춘욱 이코노미스트의 자산배분, 투자지표 설명서 (0) | 2022.11.16 |
[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] 직장인 투자자의 기본서 같은 책 (3) | 2022.09.18 |
댓글